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는 경상남도 진주시 나동면 유수리 가화천 상류 하천 바닥에 위치하며, 약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인 하산동층에서 발견된 화석 산지이다. 1995년 윤철수에 의해 알로사우루스과 육식공룡의 이빨 화석이 발견되었고, 이 화석은 한반도에서 처음 발견된 알로사우루스과 공룡 이빨 화석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일본에 이어 두 번째 사례이다. 이곳에서는 공룡 뼈 화석 외에도 다양한 화석들이 발견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공룡뼈 화석 조각이 발견되어 공룡의 서식 환경과 화석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룡 화석 -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신평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이천리층 노두로, 다양한 공룡 및 새 발자국 화석과 뼈 화석, 구과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당시 얕은 바다 또는 갯벌 환경과 지질학적 활동성을 보여주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유산이다. - 공룡 화석 - 사천 아두섬 공룡화석 산지
사천 아두섬 공룡화석 산지는 경상 누층군에서 다양한 공룡 발자국, 공룡알, 공룡 뼈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익룡의 이족 보행 가능성을 시사하는 뒷발 자국 화석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보존을 위해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다. - 진주시의 지리 - 진주층
진주층은 압트절 후기에서 알비절 초기에 걸쳐 퇴적된 경상 누층군의 지층으로, 다양한 화석을 포함하여 백악기 한반도의 생태 환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진주시의 지리 - 덕천강
덕천강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하천으로, 다양한 유적지를 포함하며 진양호로 흘러 들어간다. - 경상남도의 천연기념물 -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는 수령 약 600년의 거목으로, 곽재우 장군 관련 유적지에 위치하여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화재 생존 및 젖이 나오지 않는 산모에게 효험이 있다는 전설로 인해 신성시되며, 천연기념물 제30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경상남도의 천연기념물 - 우포늪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의 자연 늪으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이자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멸종 위기종을 포함한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고 철새 도래지 역할과 더불어 홍수 조절, 수질 정화, 식량 공급 등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
로마자 표기 | Jinju Yusuri Baekakgihwaseok Sanji |
유형 | 천연기념물 |
지정 번호 | 390 |
지정일 | 1997년 12월 30일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495 외 |
면적 | 287,058m2(지정구역) |
문화재청 ID | 16,03900000,38 |
2. 발견 경위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고생물화석산지 답사팀에 참여한 尹哲洙일본어(윤철수) 씨는 1990년대 경상남도 진주시 나동면 유수리 가화천 상류 하천바닥에서 알로사우루스과 육식공룡 이빨 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2] 1992년에는 이 화석 발견 장소 부근에서 공룡 발자국과 배설물 화석이 발견되었다.[2]
2. 1. 화석의 특징
경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고생물화석산지 답사팀에 참여한 윤철수(당시 34세, 일본 도쿄 대학 지질학과 연구생)는 발견된 화석이 가로 35.9mm, 세로 20.4mm, 두께 8.7mm로, 지금까지 한반도에서 파편 형태로 발견된 10여 개의 공룡 이빨 화석과는 달리 구체적인 모양을 갖추었고 크기도 가장 크다고 밝혔다.[2]2. 2. 학술적 의의
尹哲洙일본어(윤철수)는 이 화석이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알로사우루스과 육식공룡의 이빨 화석이라고 밝혔다.[2] 이 화석은 가로 35.9mm, 세로 20.4mm, 두께 8.7mm로, 이전까지 한반도에서 발견된 파편 형태의 공룡 이빨 화석들과 달리 구체적인 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크기도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2]이 화석은 동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알로사우루스과 공룡 이빨 화석이며,[2] 1992년에는 이 화석 발견 장소 부근에서 공룡 발자국과 배설물 화석이 발견되어[2] 이 지역의 고생물학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3. 지질학적 배경
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는 진주 남강의 한 물줄기인 가화천 강바닥의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에서 발굴되었다. 이곳은 약 1억 년 전 중생대 백악기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1. 하산동층
약 1억 년 전 물과 바람 등에 의해 돌이 쌓이면서 넓이 150m, 길이 2km에 걸쳐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이 드러난 화석산지에서는 지골화석, 발가락 뼈, 좌골화석 등 100여 점에 달하는 공룡 뼈가 발견되었다. 또한 오래된 토양층, 나무 그루터기 화석, 화석 숯, 각종 과거 생물의 생활흔적화석 등 다양한 화석들도 발견되었다. 진주 유수리의 백악기 고환경과 공룡화석산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공룡 뼈 화석 조각이 발견된 곳으로 공룡의 서식 환경과 화석화 과정 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이다.[1]참조
[1]
웹인용
경남 진주시 부근의 백악기 하산동층에 발달한 공룡화석층
https://www.dbpia.co[...]
한국고생물학회
1998-06
[2]
뉴스
慶南 晉州서 육식공룡 이빨화석 발견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